Profile

< LINK : 박정민 소개자료 > 


* 성 명

박 정 민 / Park Chung Min

* 소 속

COZY SUDA 대표

* 학 력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문학박사 (상담심리학 전공)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문학석사 (상담심리학 전공)

이화여자대학교 법학과 법학사

* 자 격 증

상담심리전문가(한국심리학회)

전문코치(한국코치협회)

* 근 무 경 력

리더스인싸이트그룹 Development 담당 상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피플인싸이트그룹 Development 담당 팀장

다산 E&E EAP 팀장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연구원

한국청소년상담원 선임상담원      

* 강 의 경 력

현대제철, LG 유플러스, 삼성전자, LH공사, KORAIL, KT, 롯데그룹, 웅진그룹, LS전선, 알리안츠 생명, 서울특별시, LG인화원, 현대해상, 화재보험협회, 현대자동차그룹, 쌍용자동차, 외환은행, 진학사, SPC그룹, 메리츠 화재, 안국약품, LG화학, 농수산식품연수원, 한진해운, 한국마사회, 외교부, 대우건설, 대홍기획, Oxy레킷벤키저, STX Pan Ocean, STX 에너지, 한국예탁결제원, SK하이닉스, UNIST, 포스코, 삼성금융연수원 등

* 코 칭 & 상 담 경 력

SK IET(PL), SK 에너지(PL), SK 지오센트릭(PL), SK온 Battery(PL), 외교부(국장 & 과장), 아모레퍼시픽(임원 & 팀장), 현대자동차(임원), 삼성그룹(임원후보/법인장/주재원), LG유플러스(임원 & 팀장), LG전자(임원 & 팀장), KT(상무보 & 팀장), LG 디스플레이(임원 & 담당 & 부장), 코오롱그룹(임원), 알리안츠 생명(부서장 & 영업단장), 중앙공무원교육원(고위공무원단후보자), 국무총리실(2급), 외환은행(부서장 & 지점장), LS전선(담당 & 부장), 서울아산병원(구성원), STX Pan Ocean(팀장), 리얼네트웍스(임원), 뉴턴그룹(팀장), 롯데홈쇼핑(팀장), 아스트라제네카(임원), LG CNS(팀장), 롯데케미칼(임원), SK Innovation(임원 & 팀장 & 과장 & 대리), SK Networks(팀장) 등

* 평 가 경 력

한화, BMW, Jaguar Landrover, 서울특별시, KT, SK네트웍스, 특허청, SK텔레시스, LS전선, 국민연금공단, SPC그룹, 농어촌공사, 창신INC, ECOLAB, BRADY Korea, 대림산업, 우정공무원교육원 등

* 저 서 & 역 서 Link

< 2023년 - 2015년 > 

온라인 리더십코칭에 대한 수다(집필, 2023)

내향적 구성원에게 친화적인 일터 만들기(번역, 2022)

Can you hear me? - 효과적인 온라인 업무소통 방법(번역, 2021)

동기부여 도구상자(번역, 2020)

평판 : 나를 둘러싼 평판. 평판이란 무엇인가? 왜 중요한가?(번역, 2019)

일터에서 긍정심리학 활용하기(번역, 2019)

일에 대한 모든 수다(집필, 2019)

일의 심리학 : 옥스포드 심리학 총서(번역, 2018) - 2019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밀레니얼 세대가 일터에서 원하는 것(번역, 2017) - 2017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나의 일을 의미있게 만드는 방법(번역, 2016)

코칭여행자를 위한 안내서(집필, 2015)

일터에서 의미찾기(번역, 2015)

역량기반 평가기법(번역, 2015)

< 2014년 - 2008년 > 

오해하지 말아주세요(집필, 2014)

멘붕 탈출! 스트레스 관리(집필, 2013)  

스트레스 없는 풍요로운 삶(번역, 2013)

남자의 공간(집필, 2013)

상사를 관리하라(번역, 2011)

Y세대의 코칭전략(번역, 2010)

중간관리자의 성과코칭스킬(번역, 2009)

심리치료의 거장(번역, 2008)


m.blog.naver.com/smallwave5


https://blog.naver.com/cozysuda


https://blog.naver.com/natureandcounseling


* 칼 럼 Link

< 2023년 : 박정민의 수다다방 / 심리학관 > 

인과관계를 찾기 전에 "같이 있어주기" (2023.03.27)

지금 나에게 필요한 영양분은? (2023.03.20)

난 빛날 때도 있고 평범할 때도 있다 (2023.03.13)

식물로부터의 배움 (2023.03.06)

리더의 일터관계 : 4가지 자세 (2023.02.27)

"이게 맞나?" < "내가 지금 할 수 있는 것은?" (2023.02.20)

게슈탈트 심리치료 + 리더의 대화 (2023.02.13)

업무소통 : 세게 말하기 < 명확하게 이야기하기 (2023.02.06)

정서적 웰빙을 위한 5가지 전략 (2023.01.30)

건강한 새해 계획 세우기 (2023.01.23)

구성원 코칭에서의 장애물 넘기 (2023.01.16)

로얄드 달의 마틸다 x 이야기치료 (2023.01.09)

행복은 음미(savoring) (2023.01.02)


< 2023년 : 박정민의 리더마음공부 / 게슈탈트 심리치료 > 

  (1) 감각과 알아차림 사이의 장애 (2023.03.23)

3. 알아차림 - 접촉 주기 

  (6) 성격 (2023.03.16)

  (5) 자기 (2023.03.09)

  (4) 반복회귀 게슈탈트 (2023.03.02)

  (3) 미해결과제 (2023.02.23)

  (2) 전경과 배경 (2023.02.16)

  (1) 게슈탈트 (2023.02.09)

2. 주요 개념

  (4) 실험적 접근 (2023.02.02)

  (3) 대화적 접근 (2023.01.26)

  (2) 장이론적 접근 (2023.01.19)

  (1) 현상학적 접근 (2023.01.12)

0. 들어가기 (2023.01.05)


<  2022년 : 월간인사관리 > 

(10) 포용적 일터문화 조성을 위한 행동연습 VI / 유관부서와의 협업 : 공감의 범위 넓히기 (2022.12)

(9) 포용적 일터문화 조성을 위한 행동연습 V / 구성원 코칭 : 책임감을 가져야 (2022.11)

(8) 포용적 일터문화 조성을 위한 행동연습 IV / 언어표현 : 조금 더 신중하게 (2022.10)

(7) 포용적 일터문화 조성을 위한 행동연습  III / 경청 : 일터의 다채로움 강화하기(2022.09)

(6) 포용적 일터문화 조성을 위한 행동 연습 II / 구성원 관찰(2022.08)

(5) 포용적 일터문화 조성을 위한 행동 연습 I / Self-Reflection(2022.07)

(4) 포용적 일터 문화가 부족할 때 일어나는 일(2022.06)

(3) 포용성 실행이 어려운 이유(2022.05)

(2) 포용성에 대한 이해와 오해(2022.04)

(1) 포용적 문화가 필요한 요즘 일터(2022.03)


< 2022년 : COZY SUDA / 박정민의 개인면담 가이드 >

10. 총정리 (2022.12.29) 

   (02) 유의할 점 (2022.12.22)

   (01) 중요한 점 (2022.12.15)

9. 비자발적인 구성원과 면담하기

   (05) 아무것도 나아지지 않았을 때 (2022.12.08)

   (04) Start Again (2022.12.01)

   (03) Reinforcing (2022.11.24)

   (02) Amplifying (2022.11.17)

   (01) Eliciting (2022.11.10)

8. 구성원의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 EARS

   (06) 다음 면담으로의 연결 (2022.11.03)

   (05) 여러 대안을 고민하는 구성원에게 (2022.10.27)

   (04) 경우별 메시지 (2022.10.20)

   (03) 피드백 작성 지침 (2022.10.13)

   (02) 피드백을 만들 때 고려할 요소 (2022.10.06)

   (01) 피드백 구조 (2022.09.29)

   (00) 사전 준비 (2022.09.22)

7. 구성원을 위한 피드백 만들기

   (03) 진정한 변화를 만들어내는 변화를 구축하기 (2022.09.15)

   (02) 척도질문 (2022.09.08)

   (01) 예외 (2022.09.01)

6. 구성원과 강점과 성공을 토대로 해결구축하기

   (02) 기적질문 (2022.08.25)

   (01) 목표를 만들 때의 유의점 (2022.08.18)

5. 구성원이 원하는 것을 확대하는 방법 (2022.08.11)

4. 구성원이 원하는 것에 주목하는 방법

   (04) 구성원의 협력과 동기에 영향 미치기 (2022.08.04)

   (03) 구성원이 원하는 것을 이루어 나가는 방법 (2022.07.28) 

   (02) 문제 기술 (2022.07.21)

   (01) 진행방법을 명확히 하기 (2022.07.14)

3. 면담의 기본방법 

   (23) 한 발짝 뒤에서 인도하기 (2022.07.07)

   (22) 해결구축 대화를 확대하기 (2022.06.30)

   (21) 관계성 질문 (2022.06.23)

   (20) 구성원이 생각하는 의미를 알아보기 (2022.06.16)

   (19) 변화 가능성의 단서에 주목하기 (2022.06.09)

   (18) 구성원에게 초점 돌리기 (2022.06.02)

   (17) 정상화 (2022.05.26)

   (16) 자연스러운 공감 (2022.05.19)

   (15) 구성원의 지각(perception)을 인정해주기 (2022.05.12)

   (14) 칭찬 (2022.05.05)

   (13) 과정에 주목하기 (2022.04.28)

   (12) 리더의 자기 드러내기 (2022.04.21)

   (11) 구성원의 비언어적 행동에 주목하기 (2022.04.14)

   (10) 침묵의 사용 (2022.04.07)

   (09) 비언어적 표현에 신경쓰기 (2022.03.31)

   (08) 쉽고 간략하게 바꾸어 말하기 (2022.03.24)

   (07) 요약 (2022.03.17)

   (06) 개방형 질문 (2022.03.10)

   (05) 구성원이 사용하는 핵심용어에 관심을 갖기 (2022.03.03)

   (04) 자세하게 알아보기 (2022.02.24)

   (03) 해결중심 질문하기 (2022.02.17)

   (02) 경청 (2022.02.10)

   (01) 알고 싶어하는 자세를 유지하기 (2022.02.03)

2.  해결구축

     (2) 구성원은 자기 삶의 전문가 (2022.01.27)

     (1) 기초 원리 (2022.01.20)

(2) 해결중심 접근 (2022.01.13)

(1) 문제중심 접근 (2022.01.06)

0. 이야기 구성 (2021.12.30)


< 2022년 : 심리학관 / 박정민의 수다다방

함께 어울려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따뜻한 마음을 전하기 (2022.12.26)

antifragile : 르세라핌 + 안예은 가수님 (2022.12.19)

섣부른 조언보다는, 가만히 옆에 있어주기 (2022.12.05)

나에게 지지적인 환경을 선물하기 (2022.11.21)

오소리의 이별선물 (2022.11.14)

나의 아름다운 할머니 (2022.11.07)

아나톨의 작은 냄비 (2022.10.31)

부하직원에게 "고맙다"라고 이야기하시나요? (2022.10.17)

"지금까지 쭉 그렇게 했었는데요"라는 말은 이제 그만 (2022.10.10)

"완벽주의자 리더"가 빠지게 되는 함정 (2022.09.26)

심고 가꾸고 수확하기 (2022.09.12)

당근과 채찍 이야기는 이제 그만! (2022.09.05)

걷자, 걷자, 나는 건강해 (2022.08.29)

The Well Gardened Mind / 자연과 함께 마음가꾸기 (2022.08.22)

심리적 유연성 기르기 (2022.08.15)

"문제를 가져오지 말고, 해결책을 가져와" (2022.08.08)

초등샘Z님의 '오늘 학교 어땠어?' (2022.08.01)

일터관계강화를 위한 "micromove" (2022.07.25)

STAY STRANGE (2022.07.18)

감정적 리더(X) / 감정을 잘 다루는 리더(O) (2022.07.11)

게으르다는 착각(2022.07.04)

인생, 어떻게 살아야 돼요?(2022.06.27)

사람은 고쳐쓰는 거 아니잖아요(2022.06.20)

우리들의 블루스(2022.06.13)

일하는 방법에 대한 5가지 오해(2022.06.06)

나의 해방일지(2022.05.30)

카나타 달리다(2022.05.23)

사과는 내가. 용서는 상대방이(2022.05.16)

헐~ 캐릭터! 그딴 게 중요해?(2022.05.09)

일터에서의 쪽팔림(2022.05.02)

"회식"이 돌아왔다(2022.04.25)

Tea Time / 덕질 영업 3탄(2022.04.18)

** 일터에서의 온라인 의사소통 : 기억해 볼 두 가지

(시선뉴스 / 2022.04.11)

뜨개질 / 덕질 영업 2탄(2022.04.11)

꽃가꾸기 / 덕질 영업 1탄(2022.04.04)

밝은 밤(2022.03.28)

이제 틀렸다고 생각했을 때(2022.03.21)

"나"와 함께 살아가기 / Turning Red(2022.03.14)

떨림을 갖고 살자(2022.03.07)

스물다섯, 스물하나(2022.02.28)

누군가를 믿어준다는 것은(2022.02.21)

Loudership : 으악으악으아악 (2022.02.14)

일터에서 실수했을 때 (2022.02.07)

성장마인드에 대한 오해와 이해 (2022.01.31)

일터에서의 "정서적 대상항상성"  (2022.01.24)

"마음건강관리" 공부 (2022.01.17)

내 감정 이해하기 (2022.01.10)

오늘부터 나에게 친절하기로 했다 (2022.01.03)


< 2021년 : COZY SUDA  / 박정민의 온라인리더십코칭 : 피코치를 위한 안내서 > 

** 총정리 (2021.12.23)

13. 리더의 비합리적 신념

 (8) 인간은 원래 무슨 자극을 줘도 변하지 않으므로, 코칭은 불필요하다 (2021.12.16)

  (7) 내가 한마디 하면 부하직원은 재깍 알아듣고 변화해야 한다 (2021.12.09)

  (6) 세상의 모든 일은 항상 통제가능해야 한다 (2021.12.02)

  (5) 모든 상사는 내가 말하지 않아도 내 성과를 잘 알아채고 인정해줘야 한다 (2021.11.25)

  (4) 나의 과거는 미래를 결정한다 (2021.11.18)

  (3) 내가 기대한대로 일이 안되면 정말 끔찍한 상황이 벌어진다 (2021.11.11) 

  (2) 모든 부하직원은 나를 존경하고 좋아해야 한다 (2021.11.04)

  (1) 나는 항상 잘해야 한다 (2021.10.28)

12. 리더십 코칭 후 훈습

  (3) 지지 네트워크 활용하기 (2021.10.21)

  (2) 지속적으로 성찰하기 (2021.10.14)

  (1) 새로운 습관 익히기 (2021.10.07)

  (0) 나를 위한 코치가 되어 주기 (2021.09.30)

11. 리더십코칭에서 장애물 극복하기

  (6) 고립감 (2021.09.23)

  (5) 수치심 (2021.09.16)

  (4) 무기력 (2021.09.09)

  (3) 분노 (2021.09.02)

  (2) 좌절 (2021.08.26)

  (1) 불안 (2021.08.19)

10. 리더십코칭에서 코치의 역할

  (4) Supervisor / 수퍼비전을 제공하는 사람 (2021.08.12)

  (3) Third Eye / 제3의 눈이 되어 주는 사람 (2021.08.05)

  (2) Facilitator / 촉진하는 사람 (2021.07.29)

  (1) Guide / 안내하는 사람 (2021.07.22)

09. 리더십코칭에서 피코치의 역할

  (7) Reauthor / 내 삶을 다시 쓰는 사람 (2021.07.15)

  (6) Monitor / 점검하는 사람 (2021.07.08)

  (5) Experimenter / 실험하는 사람 (2021.07.01)

  (4) Goal Setter / 목표를 그리는 사람 (2021.06.24)

  (3) Talker / 이야기하는 사람 (2021.06.17)

  (2) Explorer / 탐색하는 사람 (2021.06.10)

  (1) Reflector / 성찰하는 사람 (2021.06.03)

08. 코칭에 필요한 태도

  (4) 성장여행은 굴곡이 많다는 것을 인정하기 (2021.05.27)

  (3) 삶 전체를 성장 여행으로 꾸며나가기 (2021.05.20)

  (2) 코칭 진행에 대한 책임감 가지기 (2021.05.13)

  (1) 코치를 신뢰하기 (2021.05.06)

07. 리더십코칭의 규칙

  (3) 솔직하기 (2021.04.29)

  (2) 부탁하기 (2021.04.22)

  (1) 질문하기 (2021.04.15)

06. 리더십코칭의 효과

  (3) 건강한 관리기술의 습득 (2021.04.08)

  (2) 건강한 습관의 개발 (2021.04.01)

  (1) 건강한 자기의 형성 (2021.03.25)

05. 리더십코칭의 과정

  (3) 실행 (2021.03.18)

  (2) 통찰 (2021.03.11)

  (1) 탐색 (2021.03.04)

04. 코칭의 참여준비 (2021.02.25)

03. 온라인코칭의 유의점 (2021.02.18)

02. 리더십코칭의 정의

  (4) 코칭과 상담 (2021.02.11)

  (3) 연습 (2021.02.04)

  (2) 함께 (2021.01.28)

  (1) 성장 (2021.01.21)

  (0) 서론 (2021.01.14)

01. 이렇게 시작해보려 합니다(2021.01.07)


< 2021년 : 심리학관 / 박정민의 수다다방 : 명랑한 하루 >

Holiday Self-Care (2021.12.27)

칭찬을 받았을 때, 칭찬을 할 때 (2021.12.20)

고양이 낸시 (2021.12.13)

Text Message : 상상력이 필요합니다 (2021.12.06)

짬밥 ≠ 전문성 (2021.11.29)

"Many Thanks" to My Family (2021.11.22)

어려운 이야기를 해야 할 때 (2021.11.15)

이 일이 힘은 드는데 금새 익숙해져 (2021.11.08)

차가운 남의 개똥 정도는 흔쾌히 주워야 하는 거 (2021.11.01)

지친 하루 (2021.10.25)

Hardballing : New Dating Trend (2021.10.18)

동료를 믿어요 (2021.10.11)

Microaggression (2021.10.04)

나는 왜 나를 가짜라고 생각할까 (2021.09.27)

권력의 중독성 (2021.09.20)

비교하는 인간(Homo Comparativus) (2021.09.13)

'Uncertainty Stress' 관리전략 10가지 / Part 2(2021.09.06)

'Uncertainty Stress' 관리전략 10가지 / Part 1(2021.08.30)

일을 잘한다는 건(2021.08.23)

낙하(落下) (2021.08.16)

this is ME(2021.08.09)

Disrespect Invites Disrespect(2021.08.02)

일터에서의 감사 표현(2021.07.26)

나에게 안부를 묻는 시간(2021.07.19)

오작동하는 뇌(2021.07.12)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2021.07.05)

지구인만큼 지구를 사랑할 순 없어(2021.06.28)

Authenticity Paradox(2021.06.21)

어린 사람은 아랫 사람이 아니다(2021.06.14)

다시, 연습이다(2021.06.07)

Tunnel Vision(2021.05.31)

Burnout = Workplace Depression(2021.05.24)

츠바키 문구점(2021.05.17)

Think Again(2021.05.10)

오늘을 살아가세요(2021.05.03)

아이와 나의 바다(2021.04.26)

나를 망하게 하는 10가지 생각(2021.04.19)

Microbreaks(2021.04.12)

그건 니 생각이고(2021.04.05)

Can You Hear Me?(2021.03.29)

BALANCE(2021.03.22)

Never say never(2021.03.15)

진정한 전문가의 모습(2021.03.08)

다양성(2021.03.01)

존중(2021.02.22)

상냥함과 따뜻함(2021.02.15)

앙꼬 빠진 낙관주의(2021.02.08)

내자신이 가장 늦게 알게 되는 일(2021.02.01)

지금 이 순간(2021.01.25)

'걱정'이라고 포장된 아픈 말(2021.01.18)

네가 없는 낙원(2021.01.11)

엄마는 해녀입니다(2021.01.04)


< 2020년 : Smallwave5 / 박정민의 수다다방 > 

이승환의 '물어본다' & GRIT(Work & Culture 4 / 2020.07.27)

김려령의 '완득이' & 전문가의 언어(Work & Culture 3 / 2020.07.20)

미야베 미유키의 '안주' & Support Network(Work & Culture 2 / 2020.07.13)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 & Meaning Making(Work & Culture 1 / 2020.07.06)

언어표현을 기르기 (2) 엎어지고 자빠지고 미끄러진 후 다시 일어나기(리더를 위한 표현도구상자 10-2 / 2020.06.29)

** 부정적 피드백이 필요한 순간, 피하지 말고 말하라(HR Insight / 2020.07)

"저요?"(일터에서의 소소 10 / 2020.06.22)

언어표현을 기르기 (1) 구경(리더를 위한 표현도구상자 10-1 / 2020.06.15)

중쇄를 찍자(Work & Cartoon 10 / 2020.06.08)

두괄식 보고 vs. 미괄식 보고(일터에서의 소소 9 / 2020.06.01)

친밀감을 표현하고 싶을 때(리더를 위한 표현도구상자 9 / 2020.05.25)

골목길 꽃노래(Work & Cartoon 9 / 2020.05.18)

부탁합니다(일터에서의 소소 8 / 2020.05.11)

관계라는 것(리더를 위한 표현도구상자 8 / 2020.05.04)

왕자와 드레스메이커(Work & Cartoon 8 / 2020.04.27)

얻을 수 있는 건 다 얻고 가자(일터에서의 소소 7 / 2020.04.13)

편견을 담은 리더의 표현(리더를 위한 표현도구상자 7 / 2020.04.06)

요츠바랑(Work & Cartoon 7 / 2020.03.30)

누군가를 칭찬할 때(일터에서의 소소 6 / 2020.03.23)

유관부서와 소통하기(리더를 위한 표현도구상자 6 / 2020.03.16)

마녀 배달부 키키(Work & Cartoon 6 / 2020.03.09)

봄봄봄을 잘 보내기(Smallwave 좌담회 / 2020.03.02)

상대방의 입장에서 설명하기(일터에서의 소소 5 / 2020.02.24)

개인면담(리더를 위한 표현도구상자 5 / 2020.02.17)

허니와 클로버(Work & Cartoon 5 / 2020.02.10)

퉁명스러운 말투(일터에서의 소소 4 / 2020.02.03)

회식(리더를 위한 표현도구상자 4 / 2020.01.27)

발레 만화(Work & Cartoon 4 / 2020.01.20)

"감사합니다"와 친해지기(일터에서의 소소 3 / 2020.01.13)

회의 진행하기(리더를 위한 표현도구상자 3  / 2020.01.06)


< 2019년 > 

은수저(Smallwave5 - 박정민의 수다다방 / Work & Cartoon 3 /  2019.12.30)

연말 마음 관리(Smallwave5 - Smallwave 좌담회 1 / 2019.12.23)

사과하면 지는건가(Smallwave5 - 박정민의 수다다방 / 일터에서의 소소 2 / 2019.12.16)

부정적 피드백(Smallwave5 - 박정민의 수다다방 / 리더를 위한 표현도구상자 2 / 2019.12.09)

3월의 라이온(Smallwave5 - 박정민의 수다다방 / Work & Cartoon 2 / 2019.12.02)

팀장이라는 새로운 모자가 생겼습니다(HR Insight / 2019.12)

사소한 일을 깔끔하게 해내기(Smallwave5 - 박정민의 수다다방 / 일터에서의 소소 1 / 2019.11.25)

긍정적 피드백(Smallwave5 - 박정민의 수다다방 / 리더를 위한 표현도구상자 1 / 2019.11.18)

80세 마리코(Smallwave5 - 박정민의 수다다방 / Work & Cartoon 1 / 2019.11.11)

일터에서의 예의 / 선배와 후배 모두(Smallwave5 - 박정민의 수다다방 / 2019.11.04)

Living My Calling(Smallwave5 - 박정민의 수다다방 / 2019.11.04)

애자일 조직을 이끄는 젊은 리더에게 보내는 편지(HR Insight / 2019. 03)


< 2018년 - 2014년 > 

X세대 팀장이 밀레니얼 세대 팀원을 만났을 때(HR Insight / 2018. 02)

나도 젊은 꼰대? 도움이 되는 선배가 되려면(HR Insight, 2017. 09)

밀레니얼 세대에 대한 오해와 이해 그리고 공존하기(HR Insight, 2017.04)

조직변화 적응 : 변화를 위해 성장하기(이지웰마인드, 2016.03)

업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다섯 가지 요인(HR Insight, 2016.03)

징크스를 맹신하는 이유(빅이슈/자문, 2015.04)

사이 나쁜 팀원 관계, 어떻게 회복시킬까(HR Insight, 2015.04)

당신이 권태에 빠지는 이유(빅이슈/자문, 2015.03)

곤란한 상황을 못 본 척 하는 이유(빅이슈/자문, 2015.03)

당신이 거짓말하는 진짜 이유(빅이슈/자문, 2015.02)

부하직원 야단 잘 치는 방법(HR Insight, 2014.11)

일터에서 의미찾기(인사관리, 2014.05)

상대적 박탈감에 시달리는 직원을 리텐션시키기 위해 상사가 할 일

(HR Insight, 2014. 03)


< 2013년 - 2001년 > 

치유하는 도피(공감 PLUS, 불광사 불광법회 월간지, 2013. 05)

여성의 스트레스 관리(YWCA 회보, 2013. 03 - 12)

Smart Followership(HR Insight, 2012. 08 - 12)

조직문화 활성화의 기본 요소는 '소통'(HR Insight, 2012. 03)

5가지 팔로워십 유형(인사관리, 2011. 03)

Followership이란 무엇인가(HR Insight, 2010. 08 -12)

청소년의 체벌(현대자동차 사보 모터스라인, 2005. 11)

부모에게 숨기고픈 청소년 이성교제(신한생명 사보 Prime, 2005. 09)

상담칼럼 : 선생님 도와주세요(소년한국일보, 2003. 03 - 2005. 10)

괴롭히는 아이, 괴롭힘 당하는 아이(웅진 씽크빅 사보, 2004. 08)

박정민의 청소년 코드 읽기

(한국청소년상담원 소식지, 2003. 04 - 2004. 02)

청소년문화칼럼(지학사 중학독서평설, 2003. 04 - 2004. 02)

이럴땐 이렇게!(윤선생영어교실 사내보 윤선생 사람들, 2003. 01 - 12)

게임클리닉(경향게임스 주간신문 게임클리닉, 2001. 12 - 2003. 05)